반응형

2025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

 

[6차시]건강검진과 관리 문제와 정답

 

강좌소개

1. 건강검진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
2. 건강검진 실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
3. 근로자 특수 건강진단에 대해알고 이를 적용할 수 있다.

교강사및 내용전문가

한문철, 심종수, 박옥남

학습대상자

보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

학습목표

1. 건강검진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
2. 건강검진 실시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
3. 근로자 특수 건강진단에 대해알고 이를 적용할 수 있다.

 

--------------

6차시 건강검진과 관리

 

▶다음 중 건강검진 종류가 아닌 것은?

배치 전 건강진단

일반건강진단

특별건강진단

특수건강진단

​문제해설

->건강검진의 종류에는 일반건강진단, 배치건강진단, 특수건강진단, 수시건강진단, 임시건강진단이 있다.

▶사무직 직원의 일반건강진단 실시시기로 맞는 것은?

①1년 1회 이상

②1년 1회 이상

③3년 1회 이상

④6개월 1회 이상

문제해설

-> 사무직 직원은 2년 1회 이상시행하며, 그 밖의 근로자는 1년 1회 이상 시행한다.

▶다음은 건강검진의 목적과 의의에 대한 설명이다. 적절하지 않은 것은?

①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

②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의 발견 가능

③건강이상과 질병의 조기 발견에 따른 사후조치는 아님

④작업으로 인한 건강유해인자 발견

문제해설

-> 간강검진의 목적은 건강이상과 질병의 조기 발견에 따른 사후조치 가능하다.

▶다음 중 건강진단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. 적절하지 않은 것은?

①일반건강진단

②특수건강진단

③매월 건강진단

④배치 전 건강진단

​문제해설

->건강진단의 종류에는 일반건강진단, 특수건강진단, 배치 전 건강진단, 수시 건강진단, 임시건강진단이 있다.

 

▶다음은 건강검진 후 관리 시 구분 판정에 대한 설명이다. 적절하지 않은 것은?

①A는 건강관리상 사후관리가 필요 없는 근로자(건강한 근로자)

②C1은 직업성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검사 등 관찰이 필요한 근로자(직업병 요관찰자)

③C2는 일반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관찰이 필요한 근로자(일반질병 요관찰자)

④D1은 일반 질병의 소견을 보여 사후관리가 필요한 근로자(일반 질병 유소견자)

​문제해설

->D2가 일반 질병의 소견을 보여 사후관리가 필요한 근로자(일반 질병 유소견자)입니다.

 

 

----------
[한문철의 안전보건리뷰] 2025 상반기 정기안전보건교육 문제와 정답 차시별 링크 모음

 

​[한문철의 안전보건리뷰] 2025 상반기 정기안전보건교육, 1차시 안전보호구의 이해와 관리 문제와 정답

[한문철의 안전보건리뷰] 2025 상반기 정기안전보건교육, 2차시 산업안전보건법과 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 이해

[한문철의 안전보건리뷰] 2025 상반기 정기안전보건교육, 3차시 위험성평가의 이해와 적용

[한문철의 안전보건리뷰] 2025 상반기 정기안전보건교육, 4차시 업무상 재해와 재해 유형

[한문철의 안전보건리뷰] 2025 상반기 정기안전보건교육, 5차시 직무스트레스와 감정노동의 예방관리

[한문철의 안전보건리뷰] 2025 상반기 정기안전보건교육, 6차시 건강검진과 관리

 

한문철의 안전보건리뷰 문제와 정답

 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